주식 가치투자자가 반드시 확인하는 지표 PER, PBR에 대해서 알아봅시다.
PER
먼저 PER에 대해서 알아봅시다.
PER을 알려면 그 기업의 시가총액을 알아야 합니다.
시가총액 = 주가 x 주식 수
그리고 그 기업의 순이익이 있습니다.
순이익으로 몇 년을 벌어야 시가 총액과 같아지는가?
다른 말로 몇 년 안에 투자금을 회수할 수 있는가?
이게 PER 입니다. (Price earning ratio 주가 수익비율)
예) 지금 산 주식 PER가 10이면 10년 후가 되어야 본전을 뽑는다.
보통 평균 PER은 9~11 사이 정도입니다.
PER이 낮다 -> 주식 가격 대비 순이익이 높다 -> 본전을 빨리 뽑는다 (저평가 되어있다)
PER이 높다 -> 주식 가격 대비 순이익이 낮다 -> 본전을 늦게 뽑는다 (고평가 되어있다)
PBR
PBR은 시가총액이 자본 대비 몇 배 상태인지를 보는 지표입니다.
자본총계(기업의 모든 자산 - 모든 부채) 대비 시가총액이 몇 배 인가?
이게 PBR입니다. (Price Book-value Ratio 주가순자산비율)
PBR이 1보다 작다 -> 자본 대비 저평가
PBR이 1보다 크다 -> 자본 대비 고평가 (보통 4 정도 넘어야 고평가라고 합니다.)
가치투자를 좋아하는 사람들은 PER, PBR이 낮은 주식을 좋아합니다. (PER 10 이하, PBR 1 이하)
오늘부터 기업의 PER과 PBR도 보면서 투자를 해봅시다.